티스토리 뷰
처음 윈도우 10을 설치하고 나면, 윈도우를 설치한 드라이브에 (대부분의 경우 C드라이브)
"hiberfil.sys" 라는 꽤나 용량이 큰 파일이 생성되게 됩니다.
이 파일은 바로 윈도우 전원관리 모드 중 최대절전모드라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파일입니다.
최대절전모드는 메모리상의 모든 작업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후
컴퓨터 대부분 부품의 전원을 차단하여 최대의 절전기능을 유지하면서
컴퓨터를 다시 사용하려고 할 때 기존 작업환경을 그대로 불러올 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는 기능이지만, 실제로 일반 가정에서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사용하지 않는 동안 대부분 컴퓨터를 직접 종료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절전모드로 충분하며 꼭 최대절전모드를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최대절전모드를 위해 디스크에 메모리 데이터를 옮기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디스크 IO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디스크 수명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10에서 최대절전모드를 비활성화 하려면,
1) "시작"버튼 마우스 우클릭 -> Windows PowerShell (관리자) 클릭
2) 사용자 계정컨트롤 - "이 앱이 디바이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하시겠어요?" -> "예" 클릭
3) PowerShell 창에서 "powercfg -h off" 입력
위 절차를 거치면 이제 드라이브에서 hiberfil.sys 파일은 찾아볼 수 없게 되며
파일이 차지했던 공간만큼 (대부분 메모리 용량 혹은 그보다 다소 적은 정도)
가용 디스크 용량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처음 깔고 해야할 일 (0) | 2018.03.14 |
---|---|
윈도우 10을 정품인증하지 않으면? (0) | 2017.02.10 |
"파일 이름이 너무 깁니다." 오류메시지 해결하기 (6) | 2016.06.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호스팅
- 백신추천
- 카스퍼스키
- 리노드
- 절전모드
- Linode
- 절전
- 리눅스
- Regex
- 백신
- 우분투
- 가상서버
- 정품인증
- 윈도우10
- 동영상
- ubuntu
- 무료백신
- 최대절전모드
- kaspersky
- 가상서버호스팅
- 코노하
- NoSQL
- ConoHa
- 정규식
- 서버호스팅
- VP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