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우분투 서버를 구축하고자 할때 16.04와 16.10버전 중 어떤 것으로 설치해야 할 지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언뜻 버전 숫자가 높은 것일수록 최신의 것이니 16.10버전이 좋은 것이다 라고 생각 할 수 있으나 두 버전은 숫자 이상의 차이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14.04 버전과 14.10버전도 대동소이 합니다.) 먼저 16.04 버전은 LTS, 즉 Long Term Release 버전으로 이름 그대로 긴 사후지원을 보장합니다. 이 버전의 우분투는 5년간의 지원(주로 보안 업데이트)을 받게되므로 상용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경우라면 반드시 16.04 버전을 선택해야합니다. 중요한 보안문제나 기술적 문제가 발생할 시 서버 관리자가 커널을 직접 살펴보고 디버그하거나 핸들링하는것은 현실적으로..
정규식은 개발자라면 누구나 맞닥뜨리게 되는 표현식으로, 숙련된 개발자라면 이해도와 관계 없이 코드에 이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다양한 언어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기에 한 번만 제대로 배워 두어도 프로그래밍에 있어 많은 노력과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정작 한글화된 정규식 관련 자료는 많이 부족한 형편이라 이를 습득하고 실전에서 사용하는데에는 애로사항을 표하거나 난감해 하는 개발자가 많습니다. 정규식이라는 명칭은 언뜻 듣기만 해서는 이것이 정확히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알아채기 힘든데요, 정규식 예제를 보더라도 미리 문법을 모두 숙지하지 않은 이상 암호와 같은 표현으로 인해 실무에서는 이해가 되기는 커녕 오히려 프로그래밍 문법 독해마저 헷갈리게 하는 마법(?)과 같은 현상을 불러일으키기..
본격적으로 웹 서비스 또는 모바일 앱 개발을 시작하려면 직접 서버를 구축하고 운영하여야 합니다. 아마존이나 네이버, SK, KT, 가비아, 카페24, 스마일서브, Vultr 등등 국내외 수많은 호스팅 업체들이 경쟁하고 있는데요, 국내 가상서버 호스팅의 경우 안정적인 서비스 지원이 보장되고, 네트워크 반응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스타트업에게는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미국이나 유럽 등 해외의 저렴한 서버호스팅으로 눈을 돌릴 수도 있지만, 영어로 요청해야 하는 고객지원, 장거리 네트워크 연결지연 문제 등 불안요소가 산재하고 있어 선뜻 실 서비스에 사용하기에는 부담이 되기 쉽습니다. 비용과 효율성의 문제를 저울질 하다보면 차선책으로 일본의 서버호스팅 업체를 생각해 보게 되는데..
- Total
- Today
- Yesterday
- 윈도우10
- Regex
- 최대절전모드
- kaspersky
- ConoHa
- 코노하
- 동영상
- ubuntu
- 서버호스팅
- 리눅스
- 호스팅
- VPS
- 백신추천
- 리노드
- 정규식
- 가상서버호스팅
- 가상서버
- 절전
- 절전모드
- Linode
- 무료백신
- 백신
- 정품인증
- 우분투
- 카스퍼스키
- No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